반응형

앱을 개발하고 싶으신가요?

안드로이드를 개발할려면 자바나 코틀린을 공부해야 됩니다. 아이폰을 개발하려면 c-object나 스위프트를 공부해야 됩니다.

이 모두를 개발 하고 싶은데.. 한 번에 학습하기란 시간적 한계에 쉽지 않습니다. 물론 시간을 들여 학습을 하고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빠른 시일내에 앱을 너무 만들고 싶은걸요.

그렇다면 React Native로 앱을 개발하시면 됩니다 :)

React Native로 앱을 만드신다면 산출물이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앱 모두를 한 번에 만들 수 있습니다.

React Native는 페이스북에서 개발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개발 언어는 Javascript를 사용하며 빌드 후 앱으로 만들어질 때는 Native와 같다고 합니다.

페이스북이나 에어비엔비 같은 앱에서 React Native를 사용하여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React Native 학습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1. expo-cli를 설치해줍니다.

yarn global add expo-cli

 

설치 중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xpo: 'command not found'

 

yarn 설치 이후 expo를 못 찾는 경우는 yarn path를 잡아주면 됩니다.

 

2. yarn path 설정 (리눅스 기준 - ~./profile로 이동하여 아래 내용을 추가)

# set yarn path
export PATH=$PATH:~/.yarn/bin

 

3. 프로젝트를 생성

expo init project_name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프로젝트 생성을 하면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

 

4. 프로젝트 구동

yarn start

 

 

반응형
반응형

mongodb 실행을 위해서 mongo 명령어를 입력 하였더니 에러가 발생하였다.

위의 에러만으로는 정확히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었다.

정확한 로그를 다시 확인 해보자.

cat /var/log/mongodb/mongod.log

 

 

로그를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를 확인 하였다.

E NETWORK  [initandlisten] Failed to unlink socket file /tmp/mongodb-27017.sock errno:1 Operation not permitted

/tmp/mongodb-27017.sock 파일이 허가가 안되어서 발생하는 에러로써 이 파일을 지우고 mongodb를 실행해주면 되겠다.

sudo rm -rf /tmp/mongodb-27017.sock
sudo systemctl stop mongod
sudo systemctl start mongod
mongo
반응형

'DB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MongoDB collection data 값 확인  (0) 2019.02.23
[DB] MongoDB 설치  (0) 2019.02.22
반응형

heroku 배포 중 에러가 발생하였다.

raise valueerror("missing staticfiles manifest entry for '%s'" % clean_name)

valueerror: missing staticfiles manifest entry for

처음에는 서버쪽에 static파일이 올라가지 않았나 싶었다. 확인 해보니 statice파일은 서버에 잘 올라가 있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whitenoise.storage 모듈의 CompressedManifestStaticFilesStorage 클래스를 사용한다.

장고 공식문서를 보니 ManifestStaticFilesStorage클래스는 staticfiles.json manifest 파일이 없다면 ValueError에러가 발생한다. 그렇기에 manifest_strict 속성을 False를 주면 에러를 막을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from whitenoise.storage import CompressedManifestStaticFilesStorage
class WhiteNoiseStaticFilesStorage(CompressedManifestStaticFilesStorage):
    manifest_strict = False

 

* 공식 문서를 잘 활용하자 :)

반응형
반응형

A테이블에서는 업체, 정산 날짜, 지점, 수수료율 이렇게 4가지만 GROUP BY가 들어가고 나머지 칼럼은 승인금액, 수수료 금액은 합으로 계산되어 들어가 있습니다.

 

B테이블에는 A테이블을 이용하여 업체, 정산날짜만 GROUP BY가 들어가고 나머지 금액은 SUM()으로 구합니다. 이때 B테이블에도 수수료 칼럼이 들어가는데, 업체의 수수료가 다 똑같은 경우에는 해당 수수료가 들어가고 수수료가 다른 경우는 0으로 넣어줍니다.

 

이때 사용해줄 수 있는 것이 COUNT(distinct 수수료율) 입니다. COUNT(distinct 수수료율)을 사용해주면 group by에 수수료율 넣어줄 필요 없이 group by 묶인 업체의 수수료 개수를 알려줍니다.

 

SELECT 정산날짜, 업체, SUM(수수료)
	, CASE WHEN count(distinct 수수료율) > 1
    		THEN 0
            ELSE MIN(수수료율) END 수수료율
FROM A
GROUP BY 정산날짜, 업체
;

MIN(수수료율)은 GROUP BY를 피하기 위해서 사용하였으며 COUNT 개수는 1이기 때문에 MIN의 의미는 없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기존 테이블의 새로운 속성의 데이터를 넣는 일이 발생

 

1. 컬럼 추가를 해서 기존 데이터와 새로운 속성의 데이터를 구분

2. 기존 사용하는 코드 컬럼이 있다면 코드값을 별도로 만들어서 데이터를 구분

3. 새로운 속성의 데이터를 신규 테이블을 만들어 데이터를 입력 및 관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