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딩 스타일

임포트 순서

  • 표준 라이브러리
  • 코어 장고 임포트
  • 장고와 무관한 외부 앱 임포트
  • 프로젝트 앱 임포트

ex)

# Stdlib imports
from math import sqrt
from os.path import abspath

# Core Django imports
from django.db import models
from django.utils.translation import ugettext_lazy as _

# Third-party app imports
from django_extensions.db.models import TimeStampedModel

# Imports from your apps
from splits.models import BananaSplit

 

명시적 성격의 상대 임포트를 이용하자

# 하드코딩된 임포트 (사용 X)
form cones.models import WaffleCone

# cones 패키지 상대 임포트 (사용 O)
from .models import Wafflecone

하드코딩을 한다면 수정에 대한 영향범위가 늘어나고 이후 문제 소지가 커진다. .models와 같이 명시적인 상대 임포트 습관을 갖도록 하자.

 

파이썬 이름 충돌

from django.forms import CharField
from django.db.models import CharField

절대 사용하면 안되는 임포트 방식이다.

 

장고환경

  • 장고환경을 구성할 때는 같은 로컬과 상용에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자. 사용은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나 로컬에서는 sqlLite를 그냥 사용한다. 하지만 이 둘의 DB는 분명 차이가 있다. 로컬에서 구동이 되더라도 상용에 업로드를 한다면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
  • PIP와 가상환경 툴인 virtualenv를 사용하자.
  • 기본 장고 프로젝트 템플릿은 우리가 생각하는 구성과 조금 다르다. 조금 더 효율적인 그리고 편리한 쿠키커터를 사용하여 구성하자.

< two scoops of django 내용>

 

반응형
반응형

 

1. 브랜치 리스트 출력

git branch

 

2. 브랜치 생성

git branch [브랜치 이름]

 

3. 브랜치 이동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4.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브랜치 이름]

 

5. 브랜치 삭제 후 push하면 원격지 브런치 삭제

git push origin [브랜치 이름]
반응형
반응형

 

 

GraphQL이란 당신의 API를 위한 쿼리 언어이자, 당신이 필요로 하여 만든 데이터 타입을 쿼리 형태로 실행 실행시킬 수 있는 서버사이드 런타임이다. 쿼리 언어라고 하는데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쿼리 언어와 서버-클라리언트(GraphQL)에서 사용하는 쿼리 언어로써는 다르다.

GraphQL은 데이터베이스나 플랫폼에 종속되어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GraphQL을 사용하면 빠르게 API를 만들어(restful api 대체) 웹 백단을 구성할 수 있다. GraphQL은 개발자가 필요로 하는 타입을 만들며, 타입에 따른 함수를 만들어 호출 할 수 있다.

 

아래의 예시를 보자.

 

1. 개발자가 필요로 하는 타입을 생성 (me를 호출 시 User 반환, User를 호출 시 name을 반환)

type Query {
  me: User
}

type User {
  id: ID
  name: String
}

 

2. 각각 타입에 맞는 함수를 생성 (개발자는 1번과 같이 타입을 만들고 필요로 하는 아래와 같이 쿼리를 직접 만들어 호출할 수 있게끔 만든다.)

function Query_me(request) {
  return request.auth.user;
}

function User_name(user) {
  return user.getName();
}

 

3. 위에서 만든 타입인 me호출 해보자

{
  me {
    name
  }
}

 

4. 호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me": {
    "name": "Luke Skywalker"
  }
}

 

위와 같은 내용으로 공식 문서에 설명이 되어 있지만, 다음화에는 GraphQL과 Prisma를 활용하여 API를 직접 만들어 보자. 어떻게 하면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을 하며 GraphQL을 이해 해보자.

 

 

* 서버사이드란?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구조에서 서버 쪽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말한다.

 

* 학습 페이지

https://graphql.org/learn/

 

반응형
반응형

* 흰 띠를 매라 그리고 무지를 드러내고 무지와 맞서라

어리석게 여겨짐을 두려워 하여 새로운 일을 시도해 보지 못했던 적이 얼마나 많았던가? 유치하다고 생각들이 들어 자체 검열은 또 얼마나 있는가? 한 발씩 나아가자.

 

무지를 드러내는 확실한 방법은 질문 하는 것이다. 당신은 팀 사람들에게 자신의 학습 능력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질문하는 과정에 지식을 새로이 명확하게 할 수도 있다.

 

다 준비 될때 까지 기다리다가는 아무 일도 못 할 수가 있다. 역활이나 어려운 문제가 주어진다면 그 기회를 놓치지 말고 두손으로 꽉 잡아사. 두렵게 생각되는 일을 맡고, 능력을 넘어서는 일을 실제함으로써 당신은 성장할 것이다.

 

 

* To-Do

- 당신이 우러러보는 역량을 가진 사람들의 이력서를 모아 보라: 관련 내용을 보고 기술 스택 흡수

- 알지 못하는 태도를 갖자: 유능하게 보이려는 욕구를 내려 놓자. 알지 못하는 태도가 성장에 유리하다.

- 이해 안되는 지식을 적어보라: 이 목록을 학습하고 하나씩 지워 나가자.

 

 

(프로그래머의 길, 멘토에게 묻다 내용 참고 및 리마인드, 19.09.05)

반응형
반응형

1. HTML - <태그> 내부에 직접 스타일을 적용 (인라인 방식)

See the Pen css inline example by Myeongjun Go (@junngo) on CodePen.

HTML - 태그 내부에 스타일을 직접 명시 합니다. 인라인 방식이라고도 말하며 css 내용을 바로 볼 수 있다? 라는 이점 이외에는 이점이 없습니다. 사용을 피해주세요.

 

2. HTML - <head>내부 - <style>...</style> 내부에 CSS 스타일 명시 (임베디드 방식)

See the Pen NWWWQLW by Myeongjun Go (@junngo) on CodePen.

<head> 내부에 <style>태그를 선언하여 <style> 내부에 css코드를 작성합니다. 처음 공부 하실 때 여러 예제에서 종종 사용하오니 숙지 하시고 코드를 읽으실 때 어려움이 없으시면 되겠습니다. 실제 개발에서는 css파일을 호출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css를 사용합니다.

 

3. CSS파일을 호출 (html / css 스크립트 분리)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css/style.css">

HTML파일 - head 내부에 위와 같이 명시하여 외부 css파일을 호출 해줍니다. "."은 현재 html파일 위치 기준으로, css디렉토리 내부에 style.css 파일이 존재합니다. 이곳에 css 스크립트를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대부분의 개발은 3번 방식으로 css를 적용해줍니다.

 

index.html(html 파일)

.(html파일 위치) / css / style.css(css 파일)

 

See the Pen ZEEEgpb by Myeongjun Go (@junngo) on CodePen.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