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강의에서는 영어 원서 읽기 고수가 되기 위한 배움의 원리를 알려주십니다.

아래 내용을 이해하고 꾸준히 해야겠습니다.


- 고수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분야든 반복적 훈련이 필요하다.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수준부터 (Comport Zone)

불편하게 하지면 할려면 할 수 있는 수준 (Learning Zone)

Learning Zone을 벗어나면 수행하는것이 어려운 수준 (Panic Zone)


Learning Zone에서 반복 하다보면 Comport Zone으로 변경됩니다.

도전 할 수 있는 범위(Learning Zone)가 점점 늘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 Learning Zone에서 편안해질 때 까지 반복 또 반복훈련이 필요.

이런 식으로 학습과 성장이 이루어 진다.


Learning Zone 에 해당하는 원서를 한권 골라 편안함을 느낄 때 까지 반복 하여 읽는다.

포기하고 좌절이 아닌 러닝존에서 훈련을 통해서 실력을 키워 정복해 나가자.



유튜브 링크


말씀하신 내용이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위의 내용을 적용하지 못하면 큰 발전이 없을 수도 있다.

현재 난 지금 comport zone에서 공부하고 있음을 느낀다.

100 L/S 도 그렇고 원서도 그렇다.

Learning Zone에서 다시 시작해보자.

더욱 다양하고 살아 있는 공부로써 반복하면서 나아가자.

반응형
반응형

이번 강의에서는 영어 원서 읽기 초보자가 알아야 할 내용들을 설명해주십니다.

저는 내용정리를 간략하게 보고 다시 적어 놓았지만 꼭 강의를 듣고 다시금 깨달음을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 쉽고 얇은 책으로 시작하라.

-> 해리포터를 읽을 정도면 리딩능력의 정점의 수준이다

-> 성공경험을 쌓으면서 점점 올라가자

-> 생각의 여백이 남아 있어 학습효과가 크다

- 오디오북으로 듣기를 함께 하라.

-> 듣기와 읽기를 같이 향상시키는게 효율적이다

- 영어 원서 읽기에는 묵독과 낭독이 있다.

-> 반드시 낭독으로 하자

-> 소리내어 말할줄 모르면 혼자서 말할 가능성도 없다



유튜브 링크

반응형
반응형



장고 튜토리얼에서는 선거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니다.

환경 구성으로는 가상환경은 venv, 파이썬 프로젝트 생성은 쿠키커터로 진행 하였습니다.

환경 세팅은 앞의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아래 명령어로 장고 버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ython -m django --version


장고 실행 명령어

(포트를 변경하기를 원한다면 runserver 뒤에 특정 포트를 적어주도록 하자)

python manage.py runserver


app생성

django-admin startapp polls

-> 현재 app은 쿠키커터로 생성된 디폴트 app인 users와 신규 생성한 polls 2개가 존재



polls/views.py 작성

from django.http import HttpResponse


def index(request):

    return HttpResponse("Hello, world. You're at the polls index.")

위의 뷰는 장고 내에서 가장 심플한 뷰의 형태입니다. 뷰는 urls.py 에서 매핑되어 호출 되어집니다.

urls.py에서 web application의 url을 관리합니다. urls.py에서 view를 매핑 하여 호출하는데 view의 역활은 web application의 로직을 담당합니다.


polls/urls.py 작성

from django.urls import path


from . import views

    

urlpatterns = [

    path('', views.index, name='index'),

]

위와 같이 urls.py 작성시 위의 index view가 호출 되어집니다.

이 url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한가지 더 명시를 해줘야 됩니다. 현재 우리의 app은 users와 polls 2개가 존재하는데 2개의 app을 구분하기 위해서 분기를 해줍시다.


mysite/urls.py 작성

from django.contrib import admin

from django.urls import include, path


urlpatterns = [

    path('users/', include('users.urls')),

    path('polls/', include('polls.urls')),

    path('admin/', admin.site.urls),

]

users, polls, admin 각각 의 url 들에 대해서 분기를 해줄 수 있습니다.


(part1 튜토리얼 마지막에는 path의 대한 argument 설명 포함.)


예)

http://127.0.0.1:8000/users/

http://127.0.0.1:8000/polls/

http://127.0.0.1:8000/admin/


users가 호출 됐을 때는 users app에서 로직을 처리하고

polls가 호출 됐을 때는 polls app에서 로직을 처리하도록 합니다.


튜토리얼 습득 뿐만 아니라 주의 하면서 보고 배울점

1. 현재 django의 구조에 대해서는 알고 있으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들어가기 앞서 다시 한번 튜토리얼을 꼼꼼하게 읽어 보자.

정형화된 방법으로 별 생각없이 작성하는 것이 아닌 의미를 하나씩 하나씩 보고 지나가자.


2. 큰 프로젝트의 문서 작성 방법


3. API 문서를 보고 활용 하는 방법

반응형
반응형

PostgreSQL 기본적인 접속, 테이블생성, 테이블 리스트 보기 명령어 입니다.


- 접속 방법

psql -h 127.0.0.1 -U postgres template1


-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bucketlist


- 데이터베이스 리스트 보기

\l


반응형
반응형

백엔드(python)도 만들고 싶은 대로 만들 수 있겠다.

프론트엔드(js)도 전반적인 구조를 알겠다. 디자인을 제외하면 필요한 내용은 만들 수 있겠다.

하지만 내가 부족한 내용은 디자인적 요소가 부족하다. 그렇게 듣기 시작한 강의가 css마스터 클래스다.

이 강의를 다 들을 때쯤이면 만들고 싶은 UI를 생각대로 만들 수 있도록 공부하고 연습하도록 하자.


#1파트는 Flexbox(이론) 파트이다.

flexbox 사용법을 알려준다. 그냥 이론적인 설명이 아닌 왜 flexbox를 사용하면 좋은지, flexbox를 사용하지 않고 css를 적용하면 어떤 한땀 한땀 공수가 드는지에 대한 모습들을 보여준다.

실제로는 grid를 많이 사용한다. flexbox와 grid는 사용법 면에서는 비슷한 점이 많아 flexbox 사용법을 잘 익혀두면 grid 학습이 유리하다.



강의내용중.

- flex-container, flex-item 개념

- justify-content / align-items 옵션 사용

- flex-direction 옵션 사용

- flex-wrap 옵션 사용

- align-self 옵션 사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