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적으로 유동성이라 함은 기업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확인하는 지표로 많이 사용됩니다.

저는 기업의 유동성이 궁금한 것이 아닌 시장에 돌고 있는 지표가 궁금합니다.

그럼 유동성 정의를 다시 하겠습니다.

유동성이라 함은 시장에 돌고 있는 화폐의 총량을 말합니다.

유동성 비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M1과 M2 지표를 확인해야 됩니다.

 

M1과 M2 란?

M1(협의통화): 현금 및 예금 금액 (당장 사용 가능한 돈)

M2(광의통화): 2년 미만 정기예금 (이자를 포기하고 써야 되는 돈)

 

말잔과 평잔이란?

말잔: 해당 기간의 말일자 잔액

평잔: 해당 기간 중 매일매일의 잔액을 평균한 금액

 

유동성 비율(M1/M2)을 확인한다면 유동성 비율이 많다는 건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이 많다는 것이고

즉, M1의 비율이 높을수록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M1과 M2 값은 한국은행경제 통계시스템에서 각각의 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ecos.bok.or.kr/

 

 

또는 Open API를 통해서도 값을 직접 받아 올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파이썬으로 API를 호출하는 가장 기본적인 샘플입니다.

한국은행경제 통계시스템에서 key를 발급받고 아래 key에 입력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from urllib.request import urlopen
import json

key = ''
url="http://ecos.bok.or.kr/api/StatisticSearch/"+key+"/json/kr/1/24/010Y002/MM/201401/201912/?/?/?/"

result = urlopen(url)
html = result.read()
data = json.loads(html)

print(data)

이제는 값을 받아오고 데이터 가공을 필요로 합니다 :)

필요한 값을 호출하고 필요에 따라 값을 재가공해서 사용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우리 로컬에서 테스트하기 전에 한국은행경제 통계시스템에서 직접 테스트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로컬에서 조회를 하기 전에 테스트를 해보세요!!

테스트 페이지

 

감사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지인을 활용한 지역분석 (4분면 활용)  (0) 2020.03.13

+ Recent posts